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노동시장론 Part4 계산문제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완전경쟁시장에서 A제품(단가 100원)을 생산하는 어떤 기업의 단기 생산함수가 다음과 같을 때, 이 기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한 최적 고용량을 도출하고 근거를 설명하시오 (단위당 임금은 150원)
- 기업 이윤 극대화 조건은 한계생산물 가치와 임금이 같은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 따라서, 노동의 한계생산물한계 생산물 가치가 150원인 한계 생산물이 1.5에서 최적 고용량이 결정되고,
- 주어진 생산함수에서 노동투입량이 4일 때 한계생산이 8.5-7=1.5 이므로 이윤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노동투입량은 4이다
다음은 휴대용 의자를 생산하는 K사의 생산표이다. 이 회사가 생산하는 휴대용 의자의 개당 가격이 2,000원이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10,000원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노동이 유일한 생산요소라고 가정한다)
1. 근로자 수가 5명일 때 노동의 평균 생산량
2. K사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용해야할 근로자 수와 노동의 한계 생산량
1. 근로자가 5명일 때 노동의 평균 생산량은 6이다
2. 경쟁시장 이윤 극대화 조건은 한계 생산물 가치와 임금이 같은 수준이다. 근로자 수가 3명일 때 이윤이 극대화된다
K제과점 근로자 수와 하루 케이크 생산량이 다음과 같을 때 (케이크 1개 가격은 10,000원)
- 근로자 수 2명인 경우 노동의 한계 생산
- 근로자 수 3명인 경우 노동의 한계 수입 생산
- 근로자 1인당 임금이 하루 80,000원 일 때, 이윤 극대화 시점의 근로자 수와 케이크 생산량
- 근로자 수가 2명일 때, 노동의 한계 생산은 8
- 근로자 수가 3명일 때, 노동의 한계 수입 생산은 5
- 경쟁시장 이윤 극대화 조건은 한계 생산물 가치와 임금이 같은 수준이다. 즉, 근로자수가 2명일 때 한계 생산량이 8이므로 2명일 때 이윤이 극대화되고 케이크 생산량은 18개이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한계 노동비용과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질 때 노동 공급 등을 구하시오
1. 노동공급이 7 단위일 때 한계 노동비용을 구하시오
2.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노동공급과 임금을 구하시오
1. 7 단위 한계 노동비용은 22
2. 불완전 경쟁시장 이윤 극대화 조건은 한계 노동비용과 한계 수입 생산이 같은 수준이다. 주어진 생산함수에서 노동공급이 8 단위일 때 한계 노동비용(MC)과 한계 수입 생산(MR)이 같아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진다
시간당 임금이 500원일 때, 1,000명을 고용하던 기업에서 시간당 임금이 400원으로 감소하였다. 이때 1,100 원명을 고용할 때 이 기업의 노동수요 탄력성을 계산하시오(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 노동수요의 탄력성은 0.5
노동수요가 변화 수요 Ld = 5,000 - 2W이다 (단, Ld는 근로자 수, W는 시간당 임금). 시간당 임금이 W = 2,000원일 때 노동수요의 임금 탄력성의 절대값과 근로자의 수입이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 Ld(Labor demand) : 노동수요
- 노동수요 임금탄력성 : 4
- 근로자 수입 : 2,000,000원
다음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1. 임금이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될 때 각 기업의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2. A, B 각 기업의 노동조합이 임금협상을 시도하려고 할 때 임금타결 가능성이 더 높은 기업은 어디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노동수요 탄력성
A 기업 노동수요의 임금 탄력성 = 0.35
B 기업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 0.7
2. 노동수요의 탄력성이 더욱 비탄력적인 A 기업이 임금타결 가능성이 높다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시도 시 노동수요의 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임금 상승 시 노동수요의 감소량이 적으므로, 노조의 교섭력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강한 임금인상을 요구할 수 있다
A기업은 시간당 임금이 4,000원일 때 20,000시간의 노동을 필요로 하고, 임금이 5,000원으로 인상되면 10,000시간의 노동을 필요로 한다. B기업은 임금이 시간당 6,000원일 때 30,000시간의 노동을 필요로 하고, 5,000원 일때 33,000시간의 노동을 필요로 한다.
1. A기업과 B기업의 노동수요의 임금 탄력성을 구하시오
2. A, B 각 기업의 노동조합이 임금협상을 시도하려고 할 때 그 타결 가능성이 높은 기업
3.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
1. A기업 노동수요 임금탄력성 = 2. B기업 노동수요 임금탄력성 = 0.6
2. B기업의 노동조합
3.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시도 시 노동수요의 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임금 상승 시 노동수요의 감소량이 적으므로, 노조의 교섭력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강한 임금인상을 요구할 수 있다
생산성 임금제에 의하면 명목임금의 상승률은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의 상승률과 일치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한다. 어떤 기업의 2010년 근로자 수가 40명, 생산량이 400개, 생산물 단가는 10원, 자본비용이 150원, 2011년 근로자 수는 50명, 생산량은 120개, 생산물 단가는 12원, 자본비용은 2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 생산성 임금제에 근거할 때 이 기업의 2011년 적정임금상승률을 계산하시오. (소수 첫째 자리로 표현)
- 적정임금상승률은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의 변화율인 15.2%
※ 명목임금 상승률이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이 아니라, 노동생산성일 경우 별도 풀이 필요
이상으로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노동시장론 Part4 계산문제를
알아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Part3 (1) | 2022.11.17 |
---|---|
[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part2 (0) | 2022.11.16 |
[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part1 (0) | 2022.11.15 |
[직업정보론] 계산문제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0) | 2022.11.14 |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산업분류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0)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