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직업정보론 중에서
계산 문제 기출문제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주요 계산문제는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취업률
구인 배수
입직률
등입니다

고용통계 용어 및 산식
먼저 직업정보론 계산문제에 앞서
가장 기본이 되는
통계용어 및 산식 계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산식만 있으면
직업정보론의 거의 모든
문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문제를 풀어볼게요
계산문제는 제가 작성한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요약본의
한글화일 스캔본 이미지와 함께
올릴게요^^
다음 자료를 보고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실업률을 계산하시오
- 경제활동 참가율 : 55.0%
- 고용률 : 50.0%
- 실업률 : 9.1%
A국의 만 15세 이상 인구(생산가능 인구)가 100만 명이고, 경제 활동 참가율이 70%, 실업률이 10%라고 할 때, A국의 실업 수를 계산하시오
- A국의 실업자 수 : 7만 명
30~50세 고용률을 계산하고(소수점 둘째 자리 반올림), 30~50세 고용률을 29세 이하 고용률과 비교해 분석하시오
- 29세 이하의 경우 재학, 대학 진학, 취업준비 등의 비경제활동으로 인해 30-~50세의 고용률이 29세 이하의 고용률보다 32.9%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주어진 예시를 보고 다음을 계산하시오
1) 실업률(소수 둘째 자리 반올림) 2) 임금근로자수 3) 경제활동 참가율
- 실업률 : 5.3%
- 임금근로자수 : 12,819천 명
- 경제활동 참가율 : 59.1%
가상적인 국가의 고용동향 (2019년 7월)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1) 실업률(소수점 둘째 자리 반올림) 2) 경제활동 참가율 3) 자영업근로자가 9만명일때 무급가족종사자 4)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취업자 비율
- 실업률 : 5.7%
- 경제활동참가율 : 70%
- 무급가족종사자 : 5만 명
- 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자 비율 : 94.3% (고용률 : 66.0%)
고용률이 50%이고, 실업률이 10%(실업자 수 50만명)일 때, 경제활동 인구수와 비경제활동 인구수를 구하시오.
- 경제활동인구 : 500만 명
- 비경제활동인구 : 400만 명
고용률이 50%이고,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명인 가상경제에서 실업자 수가 50명일 때 실업률을 계산하시오
- 실업률 : 10%
다음표를 보고 질문에 답변하시오(소수점 3자리에서 반올림)
1) A기간의 구인 배수 2) B기간의 구인배수 3) A기간의 취업률 4) B기간의 취업률 5) A기간과 B기간의 경제동향
- A기간의 구인배수 : 0.24
- B기간의 구인배수 : 0.32
- A기간의 취업률 : 8.60%
- B기간의 취업률 : 12.68%
- A기간과 B기간의 경제동향 : A와 B를 비교해보면 A보다 B가 구인 배수는 0.08, 취업률은 4.1% 정도 높다. 즉, B가 일자리 창출과 신규 노동자의 수요를 불러일으켰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A보다 B가 경기가 더 좋다고 볼 수 있다.
A회사의 9월 말 사원수는 1천 명이었다. 신규 채용수는 20명, 전입 인원수는 80명일 때, 10월의 입직률을 계산하고, 입직률의 의미를 쓰시오
- 입직률 의미 : 조사기간 중 해당 산업체에 전입이나 신규채용으로 입직한 근로자를 전체 근로자로 나눈 값
- 입직률 : 10%
오늘은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직업정보론 중에서
계산 문제 기출문제를
알아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part2 (0) | 2022.11.16 |
---|---|
[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part1 (0) | 2022.11.15 |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산업분류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0) | 2022.11.13 |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0) | 2022.11.12 |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