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직업상담학] 포괄적 직업상담 정리 - 직상 2급 실기 기출문제

커리어컨설팅 2022. 11. 4. 12:55
반응형

 

 

오늘은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중

직업상담학 - 포괄적 직업상담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표 학자는 크라이티스가 있는데요

크릿츠라고도 표기되고

영문으로는 Crites로 

명기되어 있습니다

 

 

 

크라이티스(Crites)는 직업상담의 문제유형 분류에서 흥미와 적성을 3가지 변인들과 관련지어 분류하였다. 3가지 변인을 쓰고 설명하시오

 

  • 적응성 (적응형,  부적응형)

      1안 ) 흥미와 적성의 일치여부에 따라 적응형과 부적응형으로 구분한다

      2안) 선택한 진로에 대한 적응 문제로 적응형과 부적응형으로 구분한다

 

  • 결정성 (다재다능형, 우유부단형)

     1안) 재능의 풍부함이나 결단성 부족에 따라 다재다능형과 우유부단형으로 구분한다

     2안) 진로의사 결정의 우유부단 문제로 다재다능형과 우유부단형으로 구분한다

 

  • 현실성 또는 비현실성 (비현실성, 불충족형, 강압형)

     1안) 직업적 흥미나 적성수준에 따라 비현실성, 불충족형, 강압협으로 구분한다

     2안) 선택한 진로가 비현실적인 경우로 비현실형, 불충족형, 강압형으로 구분한다

 

 

 

 

 

 

 

 

 

크라이티스(Crites)의 포괄적 직업상담 과정 3단계를 쓰고 설명하시오

 

  • 진단 : 직업문제 진단을 위해 심리검사 자료와 상담을 통한 자료가 수집된다
  • 명료화 또는 해석 : 의사결정 과정을 방해하는 태도와 행동을 확인하여 대안을 탐색한다
  • 문제해결 : 내담자가 문제해결을 위하여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포괄적 직업상담에서의 진단모형 3가지를 설명하시오 (미출)

 

  • 직업상담사는 변별진단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질병 분류학적인 분류를 실시한다
  • 문제의 원인과 행동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신역동 진단을 실시한다
  • CMI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직업성숙도를 진단한다

 

 

 

 

 

 

크라이티스의 직업상담에서 검사해석 시 사용되는 진단방법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 변별적 진단 : 내담자가 지닌 직업상의 문제를 가려내기 위해 실시하는 변별적인 진단 검사. 즉, 진로성숙도 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를 실시한다
  • 역동적 진단 : 검사의 자료에 대한 직업상담사의 주관적 오류와 직업상담사를 통해 얻어진 심리자료의 통계적 오류에 대하여 보완하는데 이용되어야 한다
  • 결절적 진단 : 직업선택과 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