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만들기

미래 생애설계 : 행복한 귀농귀촌 입문과정

커리어컨설팅 2024. 3. 19. 20:55
반응형

안녕하세요. 열심히 생애설계 및 전직활동을 하고 있는 잡담소장입니다.
 

오늘은 저의 장기 생애설계 프로젝트로 고민 중인 귀촌을 위하여 수강하였던
행복한 귀농귀촌 입문과정에 대해 소개 드리겠습니다.
 
아마도 생애설계의 마지막 단계는 재취업/창업 이후에 사회공헌 또는 귀농귀촌이 아닐까 생각하기에
생애설계 한 분야의 역량 개발차원에서도 정리해봅니다
 
 

[행복한 귀농귀촌 입문과정]
- 일정 : 2023.10.18(수) ~ 11.8(수), 총 4회, 12시간 (매주 수요일 3시간)
- 장소 : 서울시 50플러스 남부캠퍼스

※ 농업이 아닌 농촌으로 입문(귀농 아닌 귀촌부터)

 
본 과정은 4회차 과정으로 주요 키워드별로 간단하게 정리할 예정입니다.
 
◎ 수도권 외 지역 소멸 시기 : 10년 뒤 집/학교/병원 지속 가능 여부 확인 필요
    ☞ 현재 기준의 일반 마을 집짓기 보다는 읍내 집짓기 또는 임대
   ※ 토지구입은 군청부터(네이버, 부동산 X) : 주택과, 토지과, 농지과에서 주의해야할 점 사전 확인
 
◎ 2021년 기준, 50만명 귀농귀촌, 그 중 4%만 귀농(땅, 재배기술, 지역 기반이 없음)
    ☞ 도시와 농촌의 다름을 인정 : 한달 살아보기 권장

농촌에서 살아보기귀농인의 집체류형 창업지원센터
귀통귀촌 종합센터
1~6개월 농촌 탐방
지자체 귀농귀촌팀
1~12개월 마을 주거공간
해당지자체 귀농귀촌팀
(홍천, 제천, 금산, 함양, 영주, 영천, 구례, 고창)

(2023년 기준으로 금년 이후 확인 필요)
 
◎ 농식품부 귀농(농업)지원은 최소 330평 이상 : 귀촌은 무지원 
 
◎ 귀농 시  농작물 선택시 고려사항
  - 농촌진흥청 전국지역별 농작물 소득자료 참조
  - 유행작물은 오래가지 않음 : 블루베리, 아로니아, 송로버섯, 커피
  - 창상 밥상에 올라오는 것이 안정적 : 고추, 양파 등
  - 품목선정 후 판매전략 중요 : 온라인 필수(쿠팡, 스마트스토어 등)
  - A급 농작물 직접 유통, B급 농작물 가공 후 판매 : 최근 젊은 농가의 경우, 1차 생산에서 3차 유통/서비스로 바로 진입
    (6차산업 = 1차 생산 + 2차 가공 + 3차 유통/서비스)
 
◎ 관련센터

귀농귀촌 종합센터양재동 AT센터홈페이지 귀농닥터 - 임시거주(귀농의집)
귀어귀촌 종합센터서울 가산동 
귀산귀촌 종합센터한국임업진흥원 

※ 교육 : 농업교육포털 : https://www.agriedu.net 

농업교육포털

농업교육포털

agriedu.net

 

[귀촌 후 새로운 컨텐츠 찾기]
농촌에서 농업만을 논하지 말고 도시에서의 경험을 전파할 것

 
 
◎ 귀촌 인기 업종

  • 철물점
  • 백령도 편의점 : 군인가족 필요한 것, 어부 및 낚시꾼이 필요한 것
  • 국수가게 : 노년층 치아를 고려하여 성황

 
◎ 귀촌을 위한 팁 

  • 오도이촌 : 5일 도시, 2일 농촌
  • 생활인구 감소 :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디지털 관광주민증
  • 고향사랑 기부제, 농촌유학(6개월 이상 전학 필요)
  • 농촌에서 살아보기 : 2023년 한정 (금년 지자체 예산 검토) - 거창(귀촌형 1개월), 강진(3박4일)
  • 서울농장 : 서울시청 게스트하우스, 대상 - 서울시민
  • 농촌창업 : 도시인 "쉼공간"과 지역주민 "불편함(교육, 복지, 주거, 일자리 등)" 해소 -> 괴산(서점+게스트하우스)
  • 정책지원 : 공공일자리 다수(1인 200만원은 농촌 생활임금 대비 고수익)

◎ 내가 잘하는 것으로 농촌에서 창업하기

  • 분야 : 의료, 복지, 교육, 문화, 농촌관광, 숙박, 맛집, 농특산물 직거래, 둘레길 걷기, 캠핑
  • 지원조직 : 농촌융복합센터, 창업보육, 창조경제지원센터, 문화관광 등
  • 기타 : 공모사업 관심가지기, 공동체지원센터(ex. 꽃객프로젝트)
  • 농촌경제연구원을 통한 꾸준한 학습 : 강의/일 
  • 그린대로 : 농업교육 포털 인증(회원가입 필수)
  • 워케이션 = 일(work) + 휴가(vacation) : 원격 지사 활용
  • 산림법 완화 : 산촌 숙박/카페 일정 부분 허용(ex. 트리하우스 : 김제 미즈노씨)
  • 농업유산(다랭이논) + 남해 '두모마을' + 경관농업(코끼리 아울렛)

◎ 농촌관광(2019년 기준 1천300명)

  • 에어비앤비 무허가 많음 : 노어촌 민박은 합법
  • 초기 시작 시 지인을 통한 숙박 시작 필요
  • 농산물 판매가 주 판매원(숙박객 대상), 체험 연계
  • 농촌경관 및 유적지 활용(야간 농촌야경/도시야경 차이)
  • 캠핑장 : 구들장캠핑, 차박캠핑

※ 숙박관련
  - 숙박업 : 규모가 큰 형태
  - 민박 : 농어촌민박업 : 내집만 가능(230㎡ 內), 최근 조식 제공 가능


 
이상 저의 장기 생애설계 일환으로 알아본 귀농귀촌 관련 정보였습니다
 

반응형